농협 하나은행 우리은행 비과세저축 금리비교
저축을 하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저축상품들을 살펴보시다보면 낮은 금리에 실망을 하기 마련이죠. 요즘 금리가 너무 낮다보니 선뜻 저축에 가입하기 어려운것이 사실입니다.
금리가 낮아서 가입을 망설이기 마련인데 거기다 이자에 대한 세금까지 내야 하니 더더욱 가입이 망설여지죠. 그래서 많은 분들은 비과세저축을 알아보고 계실겁니다. 이번 글에서는 농협 하나은행 우리은행의 비과세저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하나은행 비과세저축 : 하나 고정금리 재형저축
하나은행의 비과세 저축의 경우 가입조건만 된다면 가입이가능하고 최고 연 0.4%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가입기간이 7년인 재형저축상품입니다.
우리은행 비과세저축 : 우리희망재형저축(혼합형,고정형)
다음으로 우리은행 비과세저축입니다. 가입조건은 하나은행과 같은 재형저축이기 때문에 동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가입기간 또한 7년으로 동일합니다.
농협 비과세저축 : NH농협 행복 재형저축
마지막으로 농협 비과세저축 상품입니다. 이 상품 또한 재형저축으로 모든 재형저축상품은 은행에 상관없이 가입기간과 가입대상이 동일합니다. 재형저축의 경우에는 금리가 일반 적금에 비해서 높은 편이고 이자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럼 재형저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볼겠습니다.
재형저축이란?
이상품은 재산형성저축을 줄여서 말하는 것으로 서민과 근로자들의 재산형성을 위해 이자 소득에 대한 비과세 상품을 이야기 합니다. 가입조건은 가입시기의 소득에 따라 가입제한이 있고 최소 7년을 유지하였을 경우에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시중은행의 재형저축 상품의 금리는 동일하고 우대금리에서 조금씩의 차이가 있기때문에 주거래은행이나 자신에게 맞는 은행에서 가입을 하시면 금리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비과세 혜택에 다른 적금에 비해서 금리가 높은 편이지만 큰 인기를 끌지못하고 있습니다. 왜그럴까요?
재형저축 인기가 없는 이유.
이상품의 경우 우선 가입기간이 7년으로 길다보니 만기까지 유지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또한 가입후 3년이 지나면 변동금리가 적용되기 때문에 추후에 금리하락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지금 금리가 높다고 해서 선뜻 가입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장기가입 상품의 경우에는 가입할때 계획적으로 가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